Engoo 블로그 3분 영어회화

시제에 활용되는 do, be, have가 조동사라고?

시제에 활용되는 do, be, have가 조동사라고?

영어의 문법 구조가 한국어와 다르다 보니 어렵다고 느껴질 수밖에 없는데요. 특히 영어의 수많은 시제 회화로 응용할 때 더욱 어렵다고 느껴질 겁니다. 오늘은 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알면 문법이 한 단계 쉬워질 개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단순 시제의 부정문과 의문문에 꼭 붙여야 하는 Do, 진행형 시제와 수동태에 사용해야 하는 Be 그리고 현재완료 시제를 이루는 Have가 영문법에서 조동사로 취급된다는 것, 아셨나요? 오늘은 조동사 do, be, hav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장에서 조동사의 역할

조동사는 뜻 그대로 도움을 주는 동사입니다. 조동사는 문장에서 활용될 때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동사에 뜻을 더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를 설명할 때는 문장에서 과거 시제를 흡수하기도 하고 부정문에서는 not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can이 과거 시제를 흡수해 동사 대신 could로 바뀌고, can에 부정 not이 붙어 cannot 또는 can't로 사용됩니다. 또한,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만들고자 할 때 조동사가 대신 도치해서 질문의 형식을 만들기도 하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에 붙는 -es, -s를 흡수해 생략되게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조동사를 영어로 'auxiliary verb' 혹은 'modal verb'라고 부르는데, 'auxiliary verb'라고 할 때는 can, will, may와 같이 단순히 도움을 주는 조동사, 일반 조동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modal verb'라고 할 때는 태도와 분위기를 표현하는 법조 동사입니다. 문장의 전체적인 느낌을 전달해주는 동사로써 can, will, may 외의 다른 조동사의 개념을 의미합니다. 

  • 과거시제를 흡수
They can understand what I am saying.
그들은 내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They could understand what I am saying.
그들은 내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can은 ‘~할 수 있다’라는 의미가 있는 조동사입니다. understand가 ‘이해하다’라는 의미가 있어, can과 함께 사용해서 ‘이해할 수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위의 문장의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데, 조동사인 can이 과거를 흡수해서 could를 사용한 것입니다. 일반 동사만 사용했을 때는 understood가 되어야 하지만, can이 과거시제를 흡수하여 could가 된 것입니다.

  • 부정의 단어 not이 붙음
They can understand what I am saying.
그들은 내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They can’t understand what I am saying.
그들은 내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과거 시제와 비슷하게, 부정형 문장을 만들 때 문장에서 조동사에 부정의 단어 not이 조동사에 붙습니다. 위의 예시에서 조동사 can에 부정의 단어인 not이 붙어 can’t가 되고, ‘이해할 수 없다’라는 의미가 표현됩니다.

  • 의문문에서 도치
They can understand what I am saying.
그들은 내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Can they understand what I am saying?
그들이 내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습니까?

조동사는 평서문의 주어와 도치되어 의문문이 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위의 문장에서도 "They can ~"을 "Can they~"로 평서문의 문장이 의문문이 되었습니다. 해석 또한 "~ 이해할 수 있습니까?"가 됩니다.

조동사 do

조동사 'Do'는 단순시제에서 의문문, 부정문, 평서문에서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특히, 평서문에서 do를 추가하면 일반동사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과거 시제에서는 do 대신 did를 사용하여 과거 시제를 흡수하기도 하고, 부정문에서는 not을 흡수하여 don’t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의문문에서도 일반동사 대신 Do를 넣어 도치해서 평서문이었던 문장을 의문문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동사 강조
Sam comes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온다.
Sam does come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오긴 한다.

여기서 단순 현재 긍정문의 동사 come에 조동사 do가 추가됐습니다. 이렇게 조동사 do를 추가해서 “~하긴 한다”, “정말 ~한다” 등의 의미로 동사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조동사와 달리 3인칭 단수의 -s가 do에 붙어 'does'가 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과거시제 흡수
Sam does come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오긴 한다.
Sam did come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오긴 했다.

문장을 과거시제로 표현하기 위해 does가 did로 바뀌었습니다. 만약 조동사가 없었다면, come이 came이 됐겠지만, 조동사가 함께 사용되고 있는 경우라서 조동사가 과거시제를 흡수해 did come이 되었습니다. 또한, 일반동사에 do를 추가하여 강조하는 의미 또한 있기 때문에 ‘오긴 했다’라고 해석합니다.

  • 부정의 단어 not이 붙음
Sam comes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온다.
Sam doesn’t come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오지 않는다.

부정문을 만들 때 부정의 단어 not을 붙이는데, 일반동사에 붙이면 긴 단어에는 뜻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조동사 do를 사용해 not을 대신 붙이는 것입니다. 또한 위 문장에서 주어가 3인칭이기 때문에 does not이 되고, 축약형으로 doesn’t가 사용되었습니다.

  • 의문문에서 도치
Sam comes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온다.
Does Sam come here frequently?
샘은 여기에 자주 옵니까?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만들기 위해 주어와 동사를 도치하는데, 부정형과 마찬가지로 긴 단어를 도치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법조 동사 do를 활용해서 대신 도치합니다. 기존 평서문에서 3인칭 주어에 따라 동사에 -s를 붙여 comes로 표현했기 때문에, 도치된 법조 동사에로 Does를 사용하여 문장 앞으로 위치를 바꿔주었습니다.

조동사 be

현재진행과 수동태에서 be 뒤에 현재분사, 과거분사가 오기 때문에 be가 일반적인 동사처럼 쓰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be가 과거시제를 흡수하고, 부정의 단어 not이 붙고 의문문에서 도치를 하기 때문에 법조 동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be가 동사의 시제와 태를 바꾸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법조 동사로 보기도 합니다.

  • 현재 진행과 수동태
They work all day.
그들은 하루 종일 일한다.
They are working on the project.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They are worked to exhaustion.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한다.

첫 번째 문장을 바탕으로, 나머지 두 예시 문장은 조동사 be를 활용하여 현재 진행과 수동태로 바꿔 표현했습니다. 두 번째 문장은 현재 진행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be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기본 문장에서 "일한다"였다면, 지금은 "일하고 있다"가 되었습니다. 세 번째 문장은 수동태를 만들기 위해 be를 사용했습니다.

  • 과거시제 흡수
They are working on the project.They were working on the project.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
They are worked to exhaustion.They were worked to exhaustion.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한다.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했다.

두 경우 모두 be동사가 법조 동사로 과거시제를 흡수한 예입니다. 첫 번째 경우는 be가 과거 시제를 흡수해 현재 진행이 과거 진행으로 바뀌었습니다. 따라서 "~하고 있었다"로 해석합니다. 두 번째 경우는 수동태를 과거로 바꾸기 위해 be의 시제를 과거형으로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 했다"로 해석합니다.

  • 부정의 단어 not이 붙음
They are working on the project.They aren’t working on the project.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지 않다.
They are worked to exhaustion.They aren’t worked to exhaustion.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한다. ⇒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하지 않는다.

위의 두 경우 모두 부정문이 되는 과정에서 be 동사에 not이 붙었습니다. 두 문장 모두 are not을 축약한 aren’t가 사용되었습니다. 첫 번째 경우는 현재진행의 부정문으로 'are not -ing'의 형태가 되어 ‘~하고 있지 않다’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 경우는 수동태의 부정문으로 'are not -ed'의 형태가 되었고 ‘~하지 않는다’가 되었습니다.

  • 의문문에서 도치
They are working on the project.Are they working on the project?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그들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나요?
They are worked to exhaustion.Are they worked to exhaustion?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한다. ⇒ 그들은 너무 피곤하게 일하나요?

두 경우 모두 의문문이 되면서 법조 동사 be와 주어를 도치했습니다. 두 경우는 be 동사의 한 형태인 "are"를 앞으로 가져오고 주어를 그 뒤로 옮겼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경우에는 현재진행의 의문문으로 ‘~하고 있나요?’의 의미를 가집니다. 두 번째 경우는 수동태의 의문문으로 '~하나요'라는 뜻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조동사 have

현재완료에서 have는 ‘갖다’라는 의미가 아닌, 과거분사와 함께 사용되어 완료 시제를 만드는 법조 동사입니다. have는 법조 동사로써 과거시제를 흡수해 현재완료에서 과거완료를 만듭니다. 또한 부정의 단어 not이 붙어서 다양한 완료 시제의 부정문 등에서 활용되고, 의문문에서 도치해서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만듭니다.

  • 현재완료
We study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합니다.
We have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왔습니다.

현재완료 시제로 표현하기 위해 study에서 법조 동사 'have'와 study의 과거분사 'studied'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의미 또한 '합니다'에서 ‘~해왔다’, '~한 적이 있다' 등이 됩니다. 이처럼 have와 동사의 과거분사 형이 함께 쓰이면서 완료 시제가 만들어집니다.

  • 과거시제 흡수
We have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왔습니다.
We had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했었습니다.

법조 동사의 역할 중 하나는 과거 시제의 흡수입니다. 위의 문장에서 조동사 have가 과거시제를 흡수해, have는 과거형 had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완료가 과거완료로 변하는 것입니다. 의미 또한 ‘해왔다’에서 ‘했었다’가 됩니다.

  • 부정의 단어 not이 붙음
We have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왔습니다.
We haven’t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오지 않았습니다.

완료 시제의 법조 동사 have는 부정의 단어 not이 붙는 역할 또한 합니다. 위의 문장의 경우 법조 동사 have에 부정의 단어 not이 붙으면서, 현재완료 평서문이 현재완료 부정문이 되었습니다. 뜻 또한 ‘~ 해오지 않았다’라는 부정의 의미를 갖게 됩니다.

  • 의문문에서 도치
We have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왔습니다.
Have we studied at that library?
우리는 그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왔습니까?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꾸기 위해 완료 시제의 법조 동사 have는 도치되는 역할을 합니다. 평서문의 주어 + 법조 동사의 구조, "We have"에서 조동사 + 주어의 구조, "Have we"로 도치해서 의문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해왔습니까?’의 의미가 있는 현재완료 의문문이 됩니다.

마무리

일반동사로 배워 온 do, be, have가 조동사라는 개념이 생소하겠지만, 문법을 공부하거나 회화를 할 때 규칙이 쉬워 활용하기 편한 조동사와 연관시키면서 기억하기는 조금 더 편하실 겁니다. 이렇게 문법을 공부했어도, 복습도 하고 활용도 해야 쓰기 더 편합니다.

엔구의 문법 교재를 활용해, 부정문과 의문문 만들기, 수동태 만들기, 다양한 시제 만들기를 연습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엔구에는 또한 여러분의 문법 공부를 도와줄 전문 강사들도 24시간 365일 대기하고 있습니다. 이제 사용할 때마다 헷갈렸던 문법을 완벽하게 마스터해보세요!